토출량과 성능그래프
- 토출량과 형식번호
- 성능 그래프
단위시간당 펌프의 토출량은 = 1회전당의 토출량 x 단위시간당의 회전수로 결정됩니다
11회전당의 토출량
펌프가 1회전할 때 밀어내는 이론토출량은 모델별 형식번호 (로타의 직경)에 따라 아래와 같습니다.
실토출량은 이론토출량보다 5~10% 정도 작게 적용합니다.
형식번호 (로타경φ) |
4 | 6 | 8 | 10 | 15 | 20 | 30 | 40 | 50 | 60 | 69 | 80 | 89 | 100 | 120 | 150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회전당의 이론토출량 (cc/rev) |
0.23 | 0.9 | 2 | 3.9 | 14 | 32 | 108 | 256 | 474 | 864 | 1,440 | 2,048 | 2,560 | 4,000 | 6,912 | 13,500 |
상기는 기본형 모델에 대한 용량이며, 저농도형(K22~K152)의 토출량은 기본형의 대략 2배입니다.
2단위시간당의 회전수(rpm)
토출량이 같아도 회전이 빠르면 작은 펌프를 선정할 수 있고 회전이 느리면 큰 펌프를 선정해야 합니다. 빠른 회전에 작은 펌프를 선정하는 것이 경제적인 것 같지만 이송액의 성상과 펌프의 운전조건에 따라 적정한 회전수를 선정 해야 안정적인 성능과 내구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.
가. 이송액의 성상과 운전조건에 따른 허용회전수
- 액체의 점도와 농도가 높을수록 마모성이 클수록 회전수가 작아야 합니다.
- 점도와 마모성이 모두 높으면 허용범위내에서도 낮은쪽으로 선정해야 합니다.
- 토출압력, 운전시간 등 면에서 사용조건이 가혹할 경우도 회전수를 가급적 낮게 선정합니다.
- 그러나 과도하게 큰 펌프를 선정하면 오히려 운전효율이 떨어지고 정량성이 부족해 정밀주입시는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.
-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적용합니다.
① 액체의 점도와 회전수 | |
---|---|
액체의 점도 | 펌프 허용회전수 |
1 ~ 1,000 cP | 300 ~ 1200 rpm |
1,000 ~ 10,000 cP | 200 ~ 600 rpm |
10,000 ~ 100,000 cP | 100 ~ 300 rpm |
100,000 ~ 1,000,000 cP | 20 ~ 100 rpm |
② 액체의 마모성과 회전수 | |
---|---|
액체의 성상 | 펌프 허용회전수 |
마모성이 없는 액체 | 300 ~ 1200rpm |
마모성이 조금 있는 액체 | 200 ~ 600rpm |
마모성이 큰 액체 | 100 ~ 300rpm |
나. 펌프의 크기에 따른 허용회전수
로타의 외주가 스테이타의 내면에 접촉해서 이동하는 상대접촉속도 Vf가 크면 접촉면의 손상이 크기 때문에 같은 이송액이라 도 펌프가 커지면 접촉속도가 커지므로 허용회전수를 줄여줍니다.
접촉속도 Vf | Vf(m/s) | 이송액의 성상 | 이송액의 적용예 |
---|---|---|---|
Vf = (πD+8e) x 𝑛/60 |
|||
0.5~0.75 | 마모가 심하고 점도가 높은액 | 석회수, 도자기반죽, 세라믹 슬러지, 농축슬러지, 그리스, 연한 치즈, 연고, 벌꿀, 기타 | |
1.0~1.5 | 약간의 마모와 점도가 있는액 | 요구르트, 페인트, 부드러운 스우프, 오·폐수 슬러지, 프라스틱 분산제, 아교 접착제, 주정, 기타 | |
2.0~3.5 | 물이나 물과 유사한 윤활성액 | 물, 포도주, 우유, 저점도 오일(식물성 기름), 기타 |
3함유고형물에 의한 펌프 크기의 적정성 검토
고형물이 함유된 액은 고형물이 스테이터의 내부를 통과 할 수 있는지를 고려해서 로타경을 선정해야 합니다.
이송가능한 고형물의 크기는 통상 로타직경의 1/4이하로 보지만 고형물이 액중에 부유되지않고 침전성이 크거나 고형물이 금속성으로 딱딱하거나 날카로운 형상일때는 1/4 이하라도 이송에 문제가 될수도 있으니 당사에 문의바랍니다.
모노펌프의 토출량은 회전수에 정비례하므로 각 모델의 성능선도는 모두 직선으로 표시됩니다
성능그래프와 펌프의 선정
아래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펌프의 회전수, 세로축은 토출유량을 표시하며 모노펌프의 토출량은 회전수에 정비례하므로 각 모델의 성능선도는 모두 직선으로 표시됩니다.
펌프의 선정은 그래프상에서 필요한 토출량을 충족할 수 있는 여러가지 모델중에서, 그 모델의 회전수가 이송액의 성상과 함유고형물 등을 고려해 적정한 허용 회전수범위내에 있는지 검토하여 1차적으로 선정한 후 이에 필요한 구동동력을 구하고 변속 필요여부, 감속 및 변속방식과 실제시장에서 상업적으로 구득 가능한 감변속기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결정합니다.
성능그래프 보는 법

2m³/hr 용량의 펌프를 구하고자 할 때 아래 그래프의 세로축에서 2m³/hr 점을 구하여 가로방향으로 이동해서 각 성능선도와의 교점을 구한 후 가로축의 회전수를 읽으면 이것이 해당 모델의 2m³/hr의 토출량을 낼 수 있는 회전수가 됩니다.
즉, K50을 선정시 80rpm, K40을 선정시 145rpm, K30을 선정시 320rpm의 어느 펌프로도 2m³/hr의 이송이 됨을 알수 있습니다. 이 여러 모델중에서 탈수슬러지와 같이 농도가 아주 높으면 K50을, 묽은슬러지라면 K30을, 중간정도의 농도액이라면 K40을 선정합니다.
1일반형의 성능그래프

2미소용량 KL형의 성능그래프

- 위 그래프는 선정을 위한 참고치입니다
- 붉은 선은 흔히 사용되는 모터(4극 60Hz)와 감속기(5:1,10:1) 사용시의펌프 회전수(350rpm → 5: 1, 175rpm → 10:1)입니다